1분 만에 끝! 바탕화면에 카톡 만드는 초간단 방법 (feat. 맥북, 윈도우)

1분 만에 끝! 바탕화면에 카톡 만드는 초간단 방법 (feat. 맥북, 윈도우)

목차

  1. 왜 바탕화면에 카톡 바로가기를 만들어야 할까요?
  2. 윈도우에서 바탕화면에 카카오톡 바로가기 만들기
    • 2.1. 설치된 카카오톡 앱을 이용하는 방법
    • 2.2. 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에서 다운로드한 경우
    • 2.3. 바로가기 아이콘 변경하는 팁
  3. 맥북에서 바탕화면에 카카오톡 바로가기 만들기
    • 3.1. 응용 프로그램 폴더에서 Dock으로 드래그하기
    • 3.2. Launchpad에서 직접 드래그하기
    • 3.3. Dock에서 바탕화면으로 드래그하기
  4. 카카오톡 바로가기 활용의 장점과 팁
    • 4.1. 멀티태스킹의 효율 극대화
    • 4.2. 카카오톡 웹 버전 바로가기 만들기 (크롬 브라우저)
    • 4.3. 바탕화면 정리 팁

1. 왜 바탕화면에 카톡 바로가기를 만들어야 할까요?

배너2 당겨주세요!

매일 수십 번씩 사용하는 카카오톡. 친구, 가족, 동료들과의 소통은 물론, 업무용 메신저로도 널리 활용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카카오톡을 실행할 때마다 시작 메뉴나 프로그램 목록을 찾아 헤매셨나요? 이런 불편함을 단 1분 만에 해결해 줄 바탕화면에 카톡 바로가기 만들기는 디지털 생활의 효율을 극대화하는 가장 쉬운 방법 중 하나입니다. 바탕화면에 아이콘을 만들어 두면 단 한 번의 클릭으로 카톡을 실행할 수 있어 시간을 절약하고, 중요한 메시지를 놓치지 않게 해줍니다. 특히 여러 작업을 동시에 하는 멀티태스킹 환경에서는 이 작은 변화가 큰 생산성 향상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제 운영체제별로 가장 쉽고 빠른 방법을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2. 윈도우에서 바탕화면에 카카오톡 바로가기 만들기

윈도우 사용자라면 이미 설치된 프로그램을 활용하거나 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에서 다운로드한 경우에 따라 두 가지 방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2.1. 설치된 카카오톡 앱을 이용하는 방법

가장 보편적인 방법입니다. 이미 PC에 카카오톡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이 방법을 사용하면 됩니다.

  1. 시작 메뉴 열기: 윈도우 키를 누르거나 화면 왼쪽 하단의 윈도우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2. 카카오톡 찾기: 시작 메뉴에 있는 프로그램 목록에서 ‘카카오톡’을 찾습니다. 보통 ‘ㄱ’ 또는 ‘K’ 섹션에 위치해 있습니다. 만약 찾기 어렵다면, 시작 메뉴 검색창에 ‘카카오톡’이라고 직접 입력합니다.
  3. 아이콘 드래그: 검색 결과 또는 프로그램 목록에서 ‘카카오톡’ 아이콘을 마우스 왼쪽 버튼으로 클릭한 상태에서 바탕화면으로 끌어다 놓습니다.
  4. 바로가기 생성: 마우스 버튼을 놓으면 ‘바로가기’ 아이콘이 생성됩니다. 아이콘 아래에 작은 화살표가 표시되어 바로가기임을 나타냅니다.

만약 드래그 앤 드롭이 되지 않는 경우, 다른 방법도 있습니다.

  1. 시작 메뉴에서 우클릭: 시작 메뉴의 ‘카카오톡’ 아이콘에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합니다.
  2. ‘자세히’ 또는 ‘파일 위치 열기’: 나타나는 메뉴에서 ‘자세히’ 또는 ‘기타’를 선택한 후, ‘파일 위치 열기’를 클릭합니다. 이 옵션은 윈도우 버전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3. 바로가기 복사: 카카오톡 실행 파일이 있는 폴더가 열립니다. 보통 ‘KakaoTalk.exe’ 파일이 있을 것입니다. 이 파일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하고 ‘보내기’ > ‘바탕 화면에 바로가기 만들기’를 선택합니다.

2.2. 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에서 다운로드한 경우

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에서 카카오톡을 설치했다면, 위의 방법이 작동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럴 때는 아래 방법을 사용하세요.

  1. 시작 메뉴 열기: 윈도우 키를 누릅니다.
  2. 카카오톡 찾기: 프로그램 목록에서 ‘카카오톡’ 아이콘을 찾습니다.
  3. 마우스 우클릭: ‘카카오톡’ 아이콘에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합니다.
  4. 바로가기 만들기: 나타나는 메뉴에서 ‘바탕 화면에 고정’ 또는 ‘바로가기 만들기’ 옵션을 찾습니다. 스토어 앱의 경우, 바로 바탕화면으로 보낼 수 있는 기능이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이 경우, 가장 확실한 방법은 앱이 설치된 폴더를 직접 찾는 것입니다. 하지만 복잡하므로 위에서 설명한 드래그 앤 드롭 방법을 먼저 시도하고, 안될 경우에만 이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2.3. 바로가기 아이콘 변경하는 팁

바탕화면에 생성된 바로가기 아이콘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면, 원하는 이미지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아이콘 우클릭: 바탕화면의 카카오톡 바로가기 아이콘에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합니다.
  2. ‘속성’ 선택: 나타나는 메뉴 하단의 ‘속성’을 클릭합니다.
  3. ‘아이콘 변경’: ‘속성’ 창이 열리면 ‘바로 가기’ 탭에서 ‘아이콘 변경’ 버튼을 클릭합니다.
  4. 아이콘 선택: 윈도우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아이콘 중에서 선택하거나, ‘찾아보기’ 버튼을 통해 PC에 저장된 .ico 형식의 이미지를 직접 지정할 수 있습니다.

3. 맥북에서 바탕화면에 카카오톡 바로가기 만들기

맥북 사용자라면 ‘바탕화면’ 대신 ‘데스크탑(Desktop)’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며, 윈도우와는 약간 다른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맥북에서 카카오톡 아이콘을 바탕화면에 만드는 방법은 세 가지가 있습니다.

3.1. 응용 프로그램 폴더에서 Dock으로 드래그하기

맥OS에서 가장 기본적인 방법은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s)’ 폴더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1. Finder 열기: Dock에 있는 Finder 아이콘을 클릭하거나, Spotlight 검색(Command + Space)을 통해 Finder를 엽니다.
  2. 응용 프로그램 폴더 이동: Finder 창 왼쪽 사이드바에서 ‘응용 프로그램’을 클릭합니다.
  3. 카카오톡 아이콘 찾기: 설치된 프로그램 목록에서 ‘KakaoTalk.app’ 파일을 찾습니다.
  4. 바탕화면으로 드래그: ‘KakaoTalk.app’ 아이콘을 클릭한 상태에서 바탕화면(데스크탑)으로 끌어다 놓습니다.
  5. 바로가기 생성: 마우스를 놓으면 바탕화면에 카카오톡 바로가기가 생성됩니다. 윈도우와 달리, 맥OS는 ‘바로가기’가 아닌 원본 파일의 **’별칭(Alias)’**을 생성합니다. 이는 원본 파일에 대한 링크와 같은 역할을 합니다.

3.2. Launchpad에서 직접 드래그하기

Launchpad는 맥OS의 앱 실행기입니다. 아이폰이나 아이패드처럼 모든 앱을 한눈에 볼 수 있습니다.

  1. Launchpad 열기: F4 키(키보드에 따라 다름)를 누르거나, Dock에 있는 로켓 모양의 Launchpad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2. 카카오톡 아이콘 찾기: 여러 페이지로 구성된 Launchpad에서 카카오톡 아이콘을 찾습니다.
  3. 바탕화면으로 드래그: ‘KakaoTalk’ 아이콘을 클릭한 상태에서 바탕화면으로 끌어다 놓습니다.
  4. 바로가기 생성: 마우스를 놓으면 바탕화면에 바로가기(별칭)가 생성됩니다.

3.3. Dock에서 바탕화면으로 드래그하기

이미 Dock에 카카오톡 아이콘이 있다면 가장 편리한 방법입니다.

  1. Dock에서 찾기: 화면 하단에 있는 Dock에서 카카오톡 아이콘을 찾습니다.
  2. 바탕화면으로 드래그: 아이콘을 클릭한 상태에서 바탕화면으로 끌어다 놓습니다.
  3. 바로가기 생성: 마우스를 놓으면 바탕화면에 바로가기(별칭)가 생성됩니다. 이 방법은 이미 Dock에 등록된 앱을 바탕화면으로 옮길 때 가장 간단합니다.

4. 카카오톡 바로가기 활용의 장점과 팁

바탕화면에 카카오톡 바로가기를 만들어 두면 단순히 클릭 한 번으로 실행하는 편리함 외에도 여러 장점이 있습니다.

4.1. 멀티태스킹의 효율 극대화

업무 중 이메일, 문서 작업, 웹 서핑 등 다양한 작업을 할 때, 카카오톡 바로가기는 작업 전환 시간을 크게 줄여줍니다. 중요한 알림이 왔을 때 즉시 반응할 수 있으며, 작업 창이 많아도 바탕화면만 보이면 바로 클릭할 수 있어 효율적인 멀티태스킹이 가능해집니다.

4.2. 카카오톡 웹 버전 바로가기 만들기 (크롬 브라우저)

PC에 별도의 프로그램을 설치하기 어려운 환경이라면, 카카오톡 웹 버전(https://accounts.kakao.com/login?continue=https%3A%2F%2Fpc.kakao.com)을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크롬 브라우저를 사용하면 이 웹페이지를 마치 앱처럼 만들어 바탕화면에 바로가기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1. 카카오톡 웹 접속: 크롬 브라우저에서 카카오톡 웹 버전 페이지에 접속하고 로그인합니다.
  2. 점 3개 메뉴 클릭: 주소창 오른쪽에 있는 점 세 개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3. ‘도구 더보기’ > ‘바로가기 만들기’: 드롭다운 메뉴에서 ‘도구 더보기’에 마우스를 올린 후, ‘바로가기 만들기’를 클릭합니다.
  4. 바로가기 생성: ‘바로가기 만들기’ 창에서 원하는 이름을 입력하고 ‘만들기’를 클릭하면 바탕화면에 웹 버전 카카오톡 바로가기가 생성됩니다. 이렇게 생성된 바로가기는 별도의 브라우저 창에서 실행되어 마치 독립된 앱처럼 사용할 수 있습니다.

4.3. 바탕화면 정리 팁

카카오톡 바로가기를 만들었지만, 바탕화면이 너무 복잡해 보인다면 폴더를 만들어 관리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자주 쓰는 앱’이나 ‘메신저’와 같은 이름의 폴더를 만들고, 거기에 카카오톡 바로가기를 넣어 두면 바탕화면을 깔끔하게 유지하면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바탕화면에 카톡 바로가기 만들기는 아주 간단한 작업이지만, 우리의 디지털 라이프를 훨씬 더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만들어 줍니다. 지금 바로 따라 해보시고, 매일 사용하는 카카오톡을 더 쉽게 이용해 보세요!

Leave a Comment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